본문 바로가기
우주과학

외계행성에서 우박이 내린다고?

by Arcturus&Orion 2023. 10. 20.

외계행성 'WASP-17b'에서 신기한 현상이 발견되었습니다. 이 행성은 지구에서 약 1300광년 떨어져 있으며, 놀랍게도 이곳의 대기에서 석영 알갱이가 우박처럼 내리고 있습니다. 이것은 지구에서 발견된 것 중에서 처음이라고 합니다.

 

미국과 영국의 과학자들이 주도한 국제 공동 연구팀은 WASP-17b 행성의 대기에서 석영 입자, 다시 말해 이산화규소로 이루어진 미세한 입자가 발견되었음을 밝혔습니다. 이 관련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'천체물리학 저널 레터스'에 발표되었습니다.

 

일반적으로 우리가 알고 있는 석영은 지구에 널리 분포하며 해변의 모래나 건축용 석재 등에 사용됩니다. 실제로 석영은 유리의 주 원료 중 하나이기도 합니다.

ILLUSTRATION: This artist’s concept shows what the hot gas giant exoplanet WASP-17 b could look like based on observations from ground- and space-based telescopes, including NASA’s Webb, Hubble, and retired Spitzer space telescopes. WASP-17 b’s atmosphere is composed primarily of hydrogen and helium, along with small amounts of water vapor and hints of carbon dioxide and other molecules. Observations of 5- to 12-micron infrared light from MIRI (Webb’s Mid-Infrared Instrument) show that WASP-17 b’s atmosphere also contains clouds made of nanocrystals of quartz (SiO2). 출처 : NASA, ESA, CSA, and R. Crawford (STScI)

이 외계행성인 WASP-17b에서 발견된 석영은 이 행성의 대기 중에 존재한다는 것이 흥미로운 점입니다. 이 연구는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의 적외선 장비를 사용하여 WASP-17b를 관측한 결과, 이 행성의 대기에 100만분의 1㎝ 크기의 작은 석영 입자들이 다량으로 존재함을 확인했다고 합니다.

 

이런 석영을 포함한 대기가 있는 외계행성은 WASP-17b가 처음으로 확인된 것입니다. 이전까지는 대기 중에 석영 대신 마그네슘과 화학적으로 유사한 규산염을 포함한 외계행성만 발견되었던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.

 

WASP-17b는 지구로부터 1300광년 떨어진 외계행성으로, 빛의 속도로 1300년이 걸립니다. 이 행성은 목성의 7배 정도에 달하는 크기를 가지고 있으며, 대부분이 수소와 헬륨으로 이루어진 가스 행성입니다.

 

WASP-17b에서는 지표면 온도차 때문에 강한 바람이 불고 있으며, 연구진은 석영이 바람을 타고 지표면으로 향해 수천㎞의 속도로 날아갈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. 이는 거대한 우박이나 강력한 소나기와 같은 현상을 일으킬 것으로 생각됩니다.

 

이 연구를 주도한 데이비드 그랜트 영국 브리스톨대 연구원은 "WASP-17b의 대기에는 구름을 형성하는 작은 입자가 있을 것으로 예상했지만, 그 성분이 석영일 것으로는 예상치 못했습니다"라며, "WASP-17b 대기 속에 얼마나 많은 석영이 포함되어 있는지에 대한 추가 분석이 진행될 예정입니다"라고 밝혔습니다.